티스토리 뷰

 
데이터 리니지를 도입하려면 단순히 도구를 설치하는 것 이상으로 구조적인 구성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번 편에서는 실무 환경에서의 데이터 리니지 구성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 리니지 구성의 큰 틀

데이터 리니지는 다음 세 가지 관점에서 구성됩니다.

계층 설명
수평 리니지 데이터 흐름 (source → staging → data mart → 모델/리포트) 추적
수직 리니지 하나의 테이블 내부에서 컬럼 단위 가공 흐름 추적
운영 리니지 데이터 처리 작업 간 트리거, 타이밍, 책임자 정보 포함

 

 

 

🔧 리니지 구성 단계별 가이드

✅ 1단계. 데이터 자산 식별

  • 대상: 테이블, 파일, API, 로그, ML 모델, 리포트 등
  • 메타데이터 자동 수집 필요

추천 도구: dbt, DataHub, OpenMetadata, Amundsen

 


 

✅ 2단계. 데이터 흐름 매핑 (ETL/ELT 파이프라인 추적)

도구 수집 방식
Airflow DAG 기반 자동 추적 (OpenLineage 연동)
dbt dbt docs로 DAG 생성 가능
Spark Job DAG 추적, OpenLineage 연계
Python 수작업 데코레이터 기반 로깅 직접 구현

✅ 3단계. 컬럼 단위 리니지 구성

  • SQL 파싱 또는 dbt macro 활용
  • 예시:
SELECT customer_id, SUM(price * quantity) AS total_spent FROM sales_data GROUP BY customer_id
→ total_spent 컬럼은 price, quantity 컬럼에서 유래됨

 


✅ 4단계. 리니지 시각화 및 검색

  • 데이터 리니지는 "보여지는 것"이 중요
  • DAG, 영향도 분석, 컬럼 트래킹 기능 필요

추천 도구

  • DataHub: 유려한 시각화와 빠른 탐색
  • OpenMetadata: AI metadata와 통합 용이
  • Marquez: 리니지 전용 UI
컬럼 레벨 리니지 구성 예시 (출처: DataHub 공식 사이트)

 


 

🧰 실무 예시: 리니지 도구 조합

목적 도구 조합
dbt 기반 분석 dbt + DataHub + Airflow + Snowflake
Spark 환경 Spark + OpenLineage + Marquez
DW 환경 Amundsen + Apache Atlas
AI 환경 Feature Store + Feast + MLflow + DataHub

 

🎯 마무리: 성공적인 리니지의 핵심

  1. 중요한 데이터 흐름부터 시작
  2. 개발자뿐 아니라 분석가 중심으로 구성
  3. 변화관리와 함께 도입

 


 

리니지는 도구가 아닌 전략입니다.
데이터를 신뢰받는 자산으로 만들고 싶다면, 리니지 구축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닙니다.

 

[관련 포스트]

[데이터 리니지] 1. AI 시대, 데이터 리니지의 중요성
[데이터 리니지] 2. 분석계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데이터 리니지가 필요한 이유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